728x90
반응형
블랙박스 테스트 vs 화이트박스 테스트 비교
블랙박스 테스트와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테스트 기법으로, 접근 방식과 테스트의 초점이 다르다. 이번 글에서는 두 테스트의 정의, 특징, 장단점, 주요 기법, 그리고 발견할 수 있는 오류를 비교하여 정리해보았다.
⬛️ 블랙박스 테스트
1) 정의
내부 구조나 코드 구현을 전혀 보지 않고, 소프트웨어의 외부 동작만을 테스트하는 방법이다.
입력값과 기대 출력값을 비교하여 기능이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.
2) 특징
- 내부 코드나 로직에 대한 지식이 필요 없다.
- 사용자 관점에서 테스트한다.
- 일반적으로 기능 테스트(Functional Testing)에서 사용된다.
-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 후와 같이 실행 가능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.
3) 장단점
장점
- 개발자와 테스트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.
- 실제 사용자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테스트 가능하다.
단점
- 내부 동작을 알 수 없으므로 테스트 케이스가 제한될 수 있다.
- 숨겨진 버그를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.
4) 주요 기법
- 경계 값 분석 (Boundary Value Analysis)
- 동등 분할 (Equivalence Partitioning)
- 결정 테이블 (Decision Table)
5) 찾을 수 있는 오류
- 인터페이스 오류
- 자료 구조상의 오류
- 성능 오류
- 시작과 종결상의 오류
- 부정확하거나 빠진 오류
- 비정상적인 자료를 입력해도 오류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
- 정상적인 자료를 입력해도 요구된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
- 경계값을 입력할 경우 요구된 출력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
⬜️ 화이트박스 테스트
1) 정의
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, 로직, 코드 흐름을 완전히 이해한 상태에서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이다.
소스 코드의 모든 문장을 한 번 이상 수행하여 모듈 안의 작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.
2) 특징
- 내부 구현 세부사항을 활용한다.
- 개발자 관점에서 테스트한다.
- 동적 테스트 (Dynamic Test)에 해당한다.
- 일반적으로 단위 테스트(Unit Testing)이나 코드 검증에서 사용된다.
3) 장단점
장점
- 복잡한 로직이나 숨겨진 오류를 발견하기 쉽다.
- 코드 커버리지(Coverage)를 통해 테스트의 완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.
단점
- 내부 구조를 알아야 하므로 테스트 작성이 복잡하다.
- 사용자 관점에서의 결함을 놓칠 수 있다.
4) 주요 기법
- 구문 커버리지 (Statement Coverage): 작성된 모든 코드를 한 번 이상 수행했는지 확인
- 분기 커버리지 (Branch Coverage): 조건문의 모든 경우를 테스트
- 경로 커버리지 (Path Coverage): 복잡한 코드의 모든 가능한 실행 경로를 검증
5) 찾을 수 있는 오류
- 세부적 오류
- 논리 구조상의 오류
- 반복문 오류
- 수행 경로 오류
- 알고리즘 오류에 따른 원치 않는 결과
- 탈출구가 없는 반복문의 사용
- 틀린 계산 수식에 의한 잘못된 결과
비교
블랙박스 테스트 | 화이트박스 테스트 | |
관점 | 사용자 관점 | 개발자 관점 |
목적 | 요구사항 충족 검증 | 코드의 논리적 결함 검증 |
필요 지식 | 내부 구조 알 필요 없음. | 내부 구조와 코드에 대한 이해 필요 |
적용 범위 | 시스템, 통합, 기능 테스트에 주로 사용 | 단위 테스트, 로직 검증에 주로 사용 |
장점 | 사용자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가능 | 숨겨진 결함 및 복잡한 로직 문제 발견 가능 |
단점 | 내부 결함 놓칠 가능성 있음 | 사용자 관점 결함 발견 어려움 |
참고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