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VS Code에서 파이썬 가상환경 설정하기
전공수업 실습을 위해 파이썬 모듈을 깔아야 하는데, 글로벌로 깔기는 싫고,, 가상환경 위에 설치하고 싶어서 VS Code에 파이썬 가상환경을 설치해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.
파이썬은 프로젝트마다 가상환경 따로 만들어서 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기도 하니까 이 점을 살려서 해보기로!
가상환경 설정할 때마다 까먹을 것 같아서 내가 참고하려고 해두는 기록 ...
교수님 왈 "파이참(Pycharm)은 좋긴 한데 프로그램이 무거워서 인공지능 할 때는 VS Code를 주로 많이 쓴다."
무거운 거 싫어서 가볍게 가보려고 한창 파이참 쓰다가 VS Code를 오랜만에 켰다^~^
VS Code에서 가상환경 설정하기
VS Code에서 Ctrl + ` 를 누르면 터미널 창이 나타난다.
bash 창에 다음의 명령어로 가상환경을 설치한다.
venv는 가상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실행하는 명령어이다.
myvenv는 가상환경을 생성할 폴더 이름으로, 다른 이름으로 바꿔도 상관 없다.
python3 -m venv myvenv
명령어를 입력하고 잠시 기다리면 새로운 폴더와 파일들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(바로 생기지는 않고, 조금 기다려야 했다.)
인터프리터(Interpreter) 설정
F1 또는 Crtl+Shift+P 를 누르면 화면 상단에 창(명령어 실행 창)이 하나 생기는데, 여기에 Python Select Interpreter
를 입력해서 선택한다. (그냥 검색창에 누르면 안 된다. 앞에 언급한 명령어로 생긴 창을 띄우면 > 표시가 나타난다.)
pip3 install pandas
인터프리터 목록에 내가 생성한 이름의 가상환경이 뜨지 않는다면, + 인터프리터 경로 입력 ... 을 클릭한다.
+찾기...를 클릭해서 생성한 가상환경 폴더에 위치한 bin/python 파일을 선택한다. (python3 파일을 선택했어야 했나..? 근데 크게 차이 없는 것 같다.)
가상환경에 있는 인터프리터가 아니라 글로벌에 있는 인터프리터가 적용된다면
설정에 가서 가상환경 파일의 경로를 적어주어야 한다.
- Command + , 를 통해 설정에 들어간다.
- venv로 가상환경을 설치했으므로, Venv Path (또는 Python path)를 확인한다.
- 내가 설치한 가상환경의 경로를 복사하여 넣어준다. (가상환경 폴더 우클릭 - 경로 복사)
원래 빈칸이었는데, 내가 설치한 가상환경의 경로를 적어주었다.
그리고 나서 다시 인터프리터 선택에 들어가보면, 내가 생성한 가상환경을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.
VS Code 하단에서 가상환경 이름도 확인할 수 있다.
가상 환경 활성화
source myvenv/bin/activate
가상환경을 활성화하니 파일 경로 맨 앞에 (myvenv)라고 뜬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가상 환경 비활성화
deactivate
'deactivate' 명령어를 입력하면 활성화되어 있던 가상환경이 비활성화되고, 파일 경로 맨 앞에 붙어있던 (myvenv)가 사라진다.
마무리
가상환경 설치 및 활성화는 끝났다!
이제 이 가상환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면 된다.